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산수학]집합의 기본 개념 1. 기본 용어 정리 수학에서 집합이란 어떠한 대상들의 모임이다. 흔히 말하는 집합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물론 수학에서의 집합은 서로 다른 대상들의 모임을 의미하기 때문에 집합이 하나의 대상이 집합에 몇 개 존재하는지는 관심이 없다. (대상이 몇 개가 있든 한 개만 있는 것으로 보겠다는 뜻이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1-1. 원소 집합 안에 있는 것들은 원소라 하며, 만약 숫자 1이 집합 X의 원소이면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1\in X$$ 원소가 아닌 것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2\notin X$$ 1-2. 집합을 나타내는 방법 집합을 나타내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원소나열법이다. 집합에 속하는 모든 원소를 집합기호 { }안에 나열하여 나타내는 방법이다. .. 더보기 [이산수학]명제와 논리 명제 논리는 명제들 간의 논리적 관계를 다루는 논리 체계이다. 수학적 진술의 의미를 분명하게 알려주며, 수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수학적 논증, 즉 명제에 대해서 이해하여야 한다. 명제 명제는 참 또는 거짓을 나타내는, 진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선언적 문장이다. 예를 들어 명제 p, q를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p\overset{\underset{\mathrm{def}}{}}{=}$ "$1+1=2$" $q\overset{\underset{\mathrm{def}}{}}{=}$"$2+2=2$" 그렇다면 명제들의 진리값(진위 여부)은 다음과 같다. $$p\equiv T$$ $$q\equiv F$$이다. (T는 True, F는 False) 연결사 여러 명제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명제를 만들낼 수..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